본문 바로가기
멀고도 가까운 경제학

쪼개기 경제학 5(스테블 코인과 20% 이자 지급)

by 전갈 2022. 5. 16.

2022년 5월 16일(월)

스테이블 코인이란?

미국 달러화에 연동하는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에 테더(USDT), USDC, 테라(UST)가 있다. 그런데 테라를 제외한 두 개의 코인은 미국 달러화를 준비금으로 보유해서 달러와 1:1로 연동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테라는 미국 달러화를 직접 준비하지 않고 대신 루나를 발행해서 담보로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대신 테라 가격이 변동할 때 담보로 받은 루나 혹은 테라를 네트워크로 공급해서 물량을 조절하는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적용한다. 이 복잡한 거래가 모두 알고리즘이 수행하게 한 독특한 블록체인 생태계가 바로 테라이고 이것이 사람들의 주목을 받은 것이다.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한 기술의 관점에서 본다면 독창적인 기술임은 인정된다.

만일 테라 가격이 1달러 이하로 하락하면, 이용자는 테라 네트워크에 1테라를 전송한다. 그렇게 되면 테라 블록체인 생태계의 네트워크에서 이용자에게 1달러 상당의 루나를 받고 이것을 팔아 차액을 보전한다. 시장에서는 테라의 공급량이 줄어들고 테라 가격이 다시 상승해서 1달러의 가치를 회복한다. 네트워크는 전송된 테라는 일부분 소각되거나 예비 기금에 저장한다.

반대로 테라의 가격이 1달러보다 높아지면 이용자는 1달러의 루나를 네크워크로 전송하고 1테라를 받는다. 사람들이 테라를 시장에 매각하면 테라의 공급량이 증가해서 테라 가격은 다시 1달러로 돌아간다.

20%의 높은 이자로 고객 유치

테라가 자신의 블록체인 생태계로 사람을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이용자가 테라를 예치했을 때 1년에 20%의 높은 이자를 지급한다는 것이다. 이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테라를 앵커프로토콜(Anchor Protocol)에 맡기면 그만큼의 연이자를 받을 수 있다. 저금리 시대에 연리 20%는 매혹적인 고수익의 금융상품이라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좋은 유인책이 되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테라 블록체인 생태계 비즈니스의 성장성이 확보되지 않았고, 달러를 보유하지 않고 루나를 담보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우려의 시선을 보냈다.

쪼개기 경제학이라는 카테고리에서 루나 사태를 긴급히 다루는 이유는 다름과 같다. 암호화폐의 신뢰성과 개인 간 금융거래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정부가 독점하고 있는 통화의 발권력을 개인으로 분산하자는 것이다. 또 금융기관의 서버가 독점하는 고객의 금융거래 정보를 쪼개서 개인에게 돌려주자는 것이 블록체인 기술의 의의다. 이것이 탈중앙은행화인 디파이(DeFi, Decenteralized Finance)의 핵심 수단으로 암호화폐(Crypto Currency)가 등장한 중요한 배경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정부의 발권력과 대형 금융기관의 금융독점을 쪼개 개별화하면서도 그것의 안정성을 네트워크의 연결성 기반 위에 보장한다. 이런 점을 생각하면 쪼개기 경제학의 한 부분으로 다룰 만한 주제라 생각된다.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 블록체인 생태계, 코인과 토큰 등에 관한 이야기를 계속해서 다뤄볼 예정이다.

블록체인, 암호화폐, 스테이블 코인, 디파이(DeFi), 블록체인 생태계, 등의 용어가 아직 낯선 사람이 많다. 나 또한 이 부분을 학습하고 정리하면서 블로그에 글을 올린다. 사정이 이러니 정리한 내용이나 예를 드는 사례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추가적인 공부는 관련 책과 논문을 읽거나 다른 SNS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