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멀고도 가까운 경제학

돈의 중력

by 전갈 2022. 3. 23.

질량을 가진 세상 모든 물질은 서로 당기는 힘, 즉 중력을 가진다. 우주 공간의 거대한 질량을 가진 별이 당기는 힘을 특히 중력이라 표현한다. 우리가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거시 세계는 모두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다만 물질의 질량이 가벼워서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태양이나 지구와 같이 질량이 엄청나게 큰 물체는 주위의 별들을 끌어당기는 중력을 가진다.

 

아이작 뉴턴은 자신이 발견한 이 힘의 크기를 계산하는 공식을 만들었다. 신의 영역인 우주가 과학의 세계로 들어온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공식을 이용해 사람들은 별들의 운행 경로와 주기를 파악했다. 그것을 바탕으로 인류는 먼 우주를 향한 장대한 발걸음을 옮기게 되었다.

 

중력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두 물체의 질량을 곱한 양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를 제곱한 양에 반비례한다. 기호를 써서 나타내면 두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 F는 중력 상수 G를 두 물체의 질량 m1, m2의 곱과 곱하고, 다시 거리 r을 제곱한 양으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우리는 힘을 구체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만 이해하면 된다.

 

공간에 원형의 물체가 있으면 그 주위의 공간은 휘어진다. 구형 물체는 공간을 함몰시키고, 구가 갖는 질량이나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함몰 정도가 달라진다. 이 구형 주위를 지나가는 물체는 함몰된 주변을 따라 아래로 굴러간다. 마치 구형이 물체를 끌어당기는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아인슈타인이 밝힌 그 유명한 중력의 실체이면서 시간과 공간이 왜곡되는 현상이다. 질량이 큰 물체는 주위의 공간을 함몰시키고, 이로 인해 주위를 지나는 물체는 함몰되는 공간의 면을 따라 당겨진다. 바로 이것이 중력 혹은 물체가 당기는 힘이다.

 

질량을 가진 물체 주변의 공간 함몰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서로 당기는 힘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렇다면 돈, 권력, 지성, 미모 등의 추상적인 개념도 당기는 힘을 가진 것은 아닐까? 그것들의 크기가 사람을 당기는 힘의 크기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돈이 많을수록, 권력이 강할수록, 지성이 높을수록, 미모가 출중할수록 사람들은 이들에게 빨려든다. 그것들이 강해지면 굳이 힘을 자랑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사람들은 딸려온다. 특히 돈의 경우라면 액수라는 양적 개념이 존재하기에 당기는 힘을 계산할 수 있지 않을까?

 

과학적 근거는 없지만, 돈의 중력을 계산하면 돈 앞에 흔들리는 사람의 마음을 한결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돈이 얼마나 많으면 사람들은 돈 앞에서 흔들리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연봉의 10배를 준다면 흔들리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5천만 원 연봉자에게 5억 원을 뇌물로 제시한다면 많은 사람이 그것을 받아들일 것이다. 뇌물의 중력이 사람들의 마음을 흔든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돈을 멀리하는 강한 심지를 가진 사람은 의식의 질량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강한 의식 질량은 돈의 중력에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돈의 크기가 점점 커지면 돈의 질량이 그들의 의식 질량을 능가하게 된다. 이제 돈의 힘 앞에 그의 마음이 흔들리고 굴복하게 된다. 과연 돈은 어떠한 힘으로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길까?

 

이처럼 돈은 법과 제도, 심지어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힘(F)이 있다. (F)이 무한대로 크다면 주위의 모든 것을 당기는 시공간 왜곡이 발생한다. 자본중립적인 법과 제도도 흔들린다. 돈이 많아질수록 돈의 중력은 커지고, 법과 제도까지 휘게 만드는 시공간 왜곡 현상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민주국가에서 법과 제도가 만인에게 평등할 수 없는 까닭은 돈의 중력장으로 인한 왜곡 현상 때문이라고 상상해 본다.

 

말이 되긴 할까? 뭐 그렇다고 전혀 의미 없다고 말할 수도 없다.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자본은 사람을 당기고 휘두르는 힘이 있는 건 사실이다. 물리적 실체를 갖는 힘은 아니라 해도 적어도 우리 정신을 지배하는 힘이 존재한다. 돈은 실체가 있고 그것이 모인 거대한 자본은 역시 실체가 있다. 돈은 은행 통장에 셀 수 없는 동그라미가 찍혀 있든, 높다란 건물이 몇 채이든 분명한 형체를 갖고 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건물의 무게를 질량으로 본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아니면 금의 무게가 되었든 진귀한 보석의 무게가 되었든 자본이 많아질수록 그 실체의 무게도 커지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아니 실제 개인의 재산 크기만큼 금을 보유한다면 그건 분명 질량을 가진 물질이 된다. 그렇다면 돈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질량도 크다는 것으로 해석하자.

 

돈의 중력

돈의 중력장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각자가 생각하는 부의 기준을 넘어서야 한다. 내 재산을 m1이라 하고, 부자의 기준을 넘는 상대의 재산을 m2라 할 때, 나와 상대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힘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대의 재산이 기준을 넘지 않는다면 중력이 발생하지 않고, 중력 공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g는 자본에 대한 나의 선호도를 나타내는데, g>1(선호체증), g=1(선호중립), 1>g>0(선호체감)으로 분류한다.

선호도의 형태

돈이 개인에게 미치는 힘은 위의 공식에서 나오는 값에 비례한다. 돈이 적은 사람의 물질 선호도에 두 사람의 재산 총액의 차이를 제곱한 값을 곱하고 이 두 사람이 속하는 국가의 평균 소득의 제곱으로 나무는 값과 돈의 힘은 비례한다. 두 사람의 재산 총액 차이가 기하급수적으로 돈의 힘을 증가시키지만, 재산이 적은 사람의 돈을 얼마나 선호하느냐도 중요한 변수가 된다. 또 돈을 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가운데서 국가의 평균 소득의 크기도 있다. 국가의 평균 소득이 높으면 돈의 힘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해보면 돈의 힘은 위의 공식의 값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상대가 가진 돈이 많을수록 돈의 중력이 세지고 다른 한쪽은 그쪽으로 빨려간다. 모든 자본이 블랙홀처럼 큰돈에 빨려 들어가는 이유가 여기 있다. 경쟁한다는 건 두 돈이 서로 같은 영역에 들어간다는 뜻이다. 큰 쪽이 작은 쪽을 빨아들인다. 사람에 미치는 힘은 그렇다. 이처럼 돈은 법과 제도의 시공간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돈이 많을수록 질량이 크고 당기는 인력도 강해진다. 돈 앞에서 평정심을 유지하기 힘든 이유는 돈이 가진 인력, 즉 중력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