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31일(화)
물체가 당기는 힘, 즉 중력이 무얼까?
질량을 가진 세상 모든 물질은 서로 당기는 힘, 즉 중력을 가진다. 우주 공간의 거대한 질량을 가진 별이 당기는 힘을 특히 중력이라 표현한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세상은 모두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다만 물질의 질량이 가벼워서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태양이나 지구와 같이 질량이 엄청나게 큰 물체는 주위의 별들을 끌어당기는 중력을 가진다.
아이작 뉴턴은 자신이 발견한 이 힘의 크기를 계산하는 공식을 만들었다. 신의 영역인 우주가 과학의 세계로 들어온 것이다. 나아가 아인슈타인의 공식을 이용해 사람들은 별들의 실제 위치와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했다. 이것을 바탕으로 인류는 먼 우주를 향한 장대한 발걸음을 옮기게 되었다.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두 물체의 질량을 곱한 양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를 제곱한 양에 반비례한다. 기호를 써서 나타내면 두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 F는 중력 상수 G를 두 물체의 질량 m1, m2의 곱과 곱하고, 다시 거리 r을 제곱한 양으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우리는 힘을 구체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만 이해하면 된다.
공간에 원형의 물체가 있으면 그 주위의 공간은 휘어진다. 구형 물체는 공간을 함몰시키고, 구가 갖는 질량이나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함몰 정도가 달라진다. 이 구형 주위를 지나가는 물체는 함몰된 주변을 따라 아래로 굴러간다. 마치 구형이 물체를 끌어당기는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아인슈타인이 밝힌 그 유명한 중력의 실체이면서 시간과 공간이 왜곡되는 현상이다. 질량이 큰 물체는 주위의 공간을 함몰시키고, 이 때문에 주위를 지나는 물체는 함몰되는 공간의 면을 따라 추락한다. 바로 이것이 중력 혹은 물체가 당기는 힘이다.
우주 공간에 있는 무수히 많은 별이 있다. 별의 질량은 서로 다르다. 어떤 별은 부피가 크고 질량도 크다. 또 어떤 별은 부피는 작은데 질량은 어마하게 크다. 질량이 크면 주위 공간이 휘는 크기, 즉 중력도 커진다. 그런데 특이하게 부피는 무척 작은데 질량이 어마어마하게 큰 별도 있다. 그런 별 주위는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아주 깊은 구멍이 생긴다. 이것이 그 유명한 블랙홀이다. 태양, 중성자별, 블랙홀 주위의 공간 함몰 정도는 질량이 증가하지만 반대로 부피가 작아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중력을 결정하는 것은 별의 질량이다.
돈도 중력을 가질까?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서로 당기는 힘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렇다면 돈, 권력, 지성, 미모 등의 추상적인 개념도 당기는 힘을 가진 것은 아닐까? 그것들의 크기가 사람을 당기는 힘의 크기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돈이 많을수록, 권력이 강할수록, 지성이 높을수록, 미모가 출중할수록 사람들은 이들에게 빨려든다. 그것들이 강해지면 굳이 힘을 자랑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사람들은 딸려온다. 특히 돈의 경우라면 액수라는 양적 개념이 존재하기에 당기는 힘을 계산할 수 있지 않을까?
과학적 근거는 없지만, 돈의 중력을 계산하면 돈 앞에 흔들리는 사람의 마음을 한결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돈이 얼마나 많으면 사람들은 돈 앞에서 흔들리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연봉의 100배를 준다면 많은 사람이 고민할 것이다. 5천만 원 연봉자에게 50억 원을 뇌물로 제시한다면 어떻게 될까? 그 힘에 영향을 받는 사람이 있지 않을까? 돈의 중력이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 수 있지 않을까?
그렇지만 돈을 멀리하는 강한 심지를 가진 사람은 의식의 질량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강한 의식 질량은 돈의 중력에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돈의 크기가 점점 커지면 돈의 질량이 그들의 의식 질량을 능가하게 된다. 이제 돈의 힘 앞에 그의 마음이 흔들리고 굴복하게 된다. 과연 돈은 어떠한 힘으로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길까?
이처럼 돈은 법과 제도, 심지어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힘(F)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그 힘(F)이 무한대로 크다면 주위의 모든 것을 당기는 시공간 왜곡이 발생한다. 자본 중립적인 법과 제도도 흔들린다. 돈이 많아질수록 돈의 중력은 커지고, 법과 제도까지 휘게 하드는 시공간 왜곡 현상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민주국가에서 법과 제도가 만인에게 평등할 수 없는 까닭은 돈의 중력장 때문인 왜곡 현상 때문이라고 상상해 본다.
말이 되긴 할까? 뭐 그렇다고 전혀 의미 없다고 말할 수도 없다.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자본은 사람을 당기고 휘두르는 힘이 있는 건 사실이다. 물리적 실체를 갖는 힘은 아니라 해도 적어도 우리 정신을 지배하는 힘이 존재한다. 돈은 실체가 있고 그것이 모인 거대한 자본은 역시 실체가 있다. 돈은 은행 통장에 셀 수 없는 동그라미가 찍혀 있든, 높다란 건물이 몇 채이든 분명한 형체를 갖고 있다.
다음에는 돈의 중력 방정식을 재미 삼아 구해 볼 것이다. 그리고 돈의 중력장을 어떻게 하면 탈출할 것인지 방법을 찾아볼 것이다. 발칙하고 황당한 생각이지만, 재미 삼아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비전공자가 엉뚱한 인문학적 상상을 가미한 글이라 물리학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도 미리 밝힌다.
'멀고도 가까운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쪼개기 경제학(축적, 양질전환, 1만 시간의 법칙) (0) | 2022.06.10 |
---|---|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 변증법 발전이 필요한데 (0) | 2022.06.07 |
자유가 두렵다(자유로부터의 도피) (0) | 2022.05.26 |
"자고 일어나니 유명해졌다"는 존 바이런과 인공지능 알파고 (0) | 2022.05.23 |
기술과 실력의 양자 도약과 인류 문명의 등뼈 '축의 시대' (0) | 2022.05.22 |